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BFSDFS
- bitmask
- Algospot
- GCD
- Eulerian path
- POJ
- Segment Tree
- graph
- implementation
- mathematics
- DynamicProgramming
- flows
- Euler circuit
- BST
- disjoint-set
- Euler path
- Sieve_of_Eratosthenes
- 백준
- CS Academy
- graph modeling
- Greedy
- Shortest path
- hashing
- dynamic programming
- Dag
- BOJ
- Eulerian circuit
- backtracking
- scc
- Cycle detecting
- Today
- Total
그냥 하는 노트와 메모장
Bellman-ford algorithm(벨만 포드) 본문
* Bellman-ford algorithm(벨만 포드) - 단일 출발점 최단 경로 알고리즘
흔히 다익스트라와 비교되며, 다익스트라는 음의 사이클을 판단할 수 없지만, 벨만 포드는 완화(Relax) 절차를 이용하여 음의 사이클을 감지하여 최단경로가 존재할 수 없음을 알아낼 수 있다. 따라서 PS에서 음의 사이클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고 단일 출발점 최단 경로를 구해야 한다면 다익스트라가 아니라 벨만 포드를 사용해야 한다.
* 수식 표현
1. 델타(u, v) : u에서 시작해서 v까지의 최단 경로 길이
2. <v0, v1, ..., vk> : v0에서 vk로 가는 방문 정점을 담은 경로
3. v.d : 단일 출발점 s에서 시작해서 v까지의 계산된 경로의 길이
* 완화(Relax) 특징
1. 삼각 부등식
임의의 간선 (u, v) ㅌ E에 대해 델타(s, v) <= 델타(s, u) + w(u, v)다.
2. 상한 특성 (중요)
모든 정점 v ㅌ V에 대해 항상 v.d >= 델타(s, v)이고, 일단 한 번 v.d가 델타(s, v)값에 도달하면 더이상 변하지 않는다. (음수 사이클 검출의 핵심 특징)
3. 무경로 특성
경로가 존재하지 않으면 v.d = 델타(s, v) = 무한대
4. 수렴 특성
s~>u->v가 최단 경로이고, 간선 (u, v)를 완화하기 전에 u.d = 델타(s, u)라면 v.d= 델타(s,v)이다.
5. 경로 완화 특성
p = <v0, v1, ..., vk>가 s=v0에성 vk까지의 최단 경로이고 p의 간선을 (v0, v1), (v1, v2), ... (vk-1, vk) 순서로 완화한다면 vk.d = 델타(s, vk)다.
6. 직전원소 부분 그래프 특성(중요)
모든 v ㅌ V에 대해 일단 한 번 v.d=델타(s, v)가 되면 직전 원소 부분 그래프는 s를 루트로 갖는 최단 경로들의 트리다.
* 벨만 포드
벨만 포드는 이런 완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. 시간 복잡도는 총 O(VE)로써, 트리의 특징에 따라 최대 |V|-1개의 간선을 가질 수 있기에 전체 |V|-1번을 돌고, 각 반복에서는 해당 정점의 간선 수 |E|번 만큼 돌기 때문이다.
델타(s, v)에서의 경로 p=<v0, v1, ..., vk>에서 s=v0이고, v=vk라고 할 때, |V|-1 반복에서 i=1,2,...,k에서 i번째 반복에서는 (vi-1, vi)가 완화된다.
* 정확성
|V|-1번 완화를 통해 s에서 도달 가능한 v ㅌ V는 모두 v.d = 델타(s, v)가 성립한다.
v.d = 델타(s, v)
<= 델타(s, u) + w(u, v)
= u.d + w(u, v)
만약 음의 가중치를 갖는 순환을 포함한다면 이 순환 c=<v0, v1, ..., vk>고 v0=vk라고 한다면 아래 수식이 성립한다.
sigma(i=1 to k) w(vi-1, vi) < 0 (음수 사이클)
따라서 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|V|번째에서도 완화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. 완화가 되었다면 음수 사이클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.
* 구현
1. 정석
for (i = 0; i < V - 1; i++) for (j = 0; j < V; j++) for (Edge& e : adj[j]) if (dist[e.v] > dist[j] + e.w) dist[e.v] = dist[j] + e.w; // |V|-1번 완화 이후, 모든 간선에 대해 완화가 존재할 수 있는지 확인 for (i = 0; i < V; i++) for (Edge& e : adj[i]) if (dist[e.v] > dist[i] + e.w) negative_cycle = 1;
2. 축약
for (i = 0; i < V; i++) for (j = 0; j < V; j++) for (Edge& e : adj[j]) { if (dist[e.v] > dist[j] + e.w) { dist[e.v] = dist[j] + e.w; if (i == V - 1) // |V|번에서도 완화가 생기면 음수사이클이 존재 negative_cycle = 1; } }
'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진 탐색 트리(BST) 연습문제 풀이 (0) | 2019.01.02 |
---|---|
이진 탐색 트리(BST) 개념 (0) | 2019.01.02 |
강한 연결 요소(SCC,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) 문제들 (0) | 2018.06.23 |
강한 연결 요소 (SCC, Strongly connected components) (0) | 2018.06.23 |
이분법(Bisection method) (0) | 2018.06.06 |